뉴스경산

프리미어프로 2020 노이즈 잡고 랜더링 안녕하세요. 프리미어프로 2020 사용중인데요. 프리미어 자체에서 노이즈로 잡음잡고 재생하면, 노이즈가

2025. 3. 31. 오전 5:58:03

프리미어프로 2020 노이즈 잡고 랜더링 안녕하세요. 프리미어프로 2020 사용중인데요. 프리미어 자체에서 노이즈로 잡음잡고 재생하면, 노이즈가

안녕하세요. 프리미어프로 2020 사용중인데요. 프리미어 자체에서 노이즈로 잡음잡고 재생하면, 노이즈가 잘 잡혔는데,

프리미어 프로 2020에서 노이즈가 잡히지 않아 속상하셨겠어요.

프리미어 프로 2020에서 노이즈를 잡고 렌더링을 했는데도 노이즈가 그대로인 경우에는 다음 절차를 시도해 볼 수 있어요.

  1. 효과 패널에서 '노이즈'를 검색하면 '오디오 효과' 아래에 '노이즈 제거'가 있어요. 이를 해당 녹음 음성 파일에 드래그하면 '효과 컨트롤'에 '노이즈 제거'가 나타나요. 여기서 '강한 노이즈 감소'와 '약한 노이즈 감소' 두 가지 기능 중 원하는 것을 체크해요. 다만 이 기능을 사용하면 소리가 작아질 수 있으므로, 볼륨을 높여 설정하시길 권해요.

  2. '기본 사운드' 패널을 열고 '대화'를 클릭해요. '항상' 탭을 눌러 활성화하면 노이즈 제거 효과가 적용돼요. 이 때 높은 수치로 설정하면 사운드가 먹먹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해요. 이외에도 '효과' 패널에서 'Denoise' 혹은 '노이즈 제거'를 검색한 뒤, 이를 타임라인에서 노이즈 제거가 필요한 음향 클립에 드래그 앤 드롭하면 돼요.

  3. '효과' 패널에서 '노이즈 제거' 효과를 적용해 간편하게 노이즈를 없앨 수도 있어요. 또한 '기본 사운드' 패널 속 '대화' 유형에는 '복구' 옵션이 있으며, 이를 통해 마이크 배경 노이즈, 마우스 클릭 소리 등 배경 노이즈를 줄일 수 있어요. 80Hz 범위 이하의 매우 낮은 주파수 및 파열음은 '럼블 감소'로, 전기적 간섭으로 인한 윙윙거림은 'DeHum'으로, 거친 치찰음은 'DeEss'로, 사운드의 에코 소리는 '반향 감소'로 줄일 수 있어요.

  4. 영상을 촬영하다 보면 아무리 좋은 마이크를 써도 주변 환경 잡음이 들어가는데, 이런 경우 프리미어 프로에서 효과 패널 검색창에 '노이즈'를 입력한 뒤, '오디오 효과'의 '노이즈 제거' 효과를 타임라인의 오디오 소스에 적용해요. 이후 '효과 컨트롤' 패널의 '오디오' 내 '노이즈' 패널에서 편집 버튼을 눌러 '클럽 FX 편집기 – 노이즈 제거' 창을 열어요. 이 창의 하단에 있는 원을 양옆으로 움직여 퍼센트를 조절하면 노이즈의 양을 바꿀 수 있어요.

  5. 디테일한 노이즈 제어를 원할 시에는 'DeNoise' 아래의 'Custom Setup'에 들어가 'Edit'을 눌러요. 'Heavy Noise Reduction'은 강한 노이즈 감소(80%), 'Light Noise Reduction'은 약한 노이즈 감소(20%)를 뜻해요. 'Amount'의 퍼센티지로 노이즈 감소량을 결정할 수 있으며, 적용은 'X'를 누르면 완료돼요. 목소리의 명확도를 올리고 싶다면 'Effect' 패널에서 'Multiband Compressor'를 찾아 원하는 오디오 클립에 적용한 뒤, 'Effect Controls'에서 'Presets'의 'Pop Master'를 선택해요. 'Thresh' 값이 낮을수록 목소리는 명확해지며, 0에 가까워질수록 명확도는 약해져요.

이러한 방법들을 시도해 보시고 문제가 해결되었는지 확인해 보시길 바라요.

글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