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경산

청년도약계좌...

2025. 4. 3. 오전 1:58:04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에 매달 50만 원씩 입금 중이고, 정부기여금이 33,000원으로 선정되셨으며, 농협은행 기준 금리 4.5% + 우대이율 0.3% 적용 중인 상황이군요.

그럼 궁금하신 부분들을 하나씩 정확하게 설명드릴게요.

1. 정부기여금(최대 40,000원)은 70만 원 입금 안 해도 받을 수 있나요?

결론: 네, 받을 수 있습니다.

  • 정부기여금은 본인이 매달 얼마를 납입하느냐에 따라 '비례지급'돼요.

  • 예: 정부에서 “최대 월 40,000원까지 지원 가능”한 대상자라도, 실제로 매달 50만 원만 입금하면 비율에 맞게 지급됩니다.

계산 예시:

  • 매달 70만 원을 기준으로 정부기여금이 40,000원이라면

  • 50만 원만 납입하는 경우:

  • 50/70 x 40,000 ≈ 28,571원 정도가 지급됩니다.

지금처럼 33,000원으로 결정되셨고, 50만 원 납입 시

→ 50/70 x 33,000 ≈ 23,571원

→ 대략 월 23,500~24,000원 정도의 정부기여금이 실제 입금됩니다.

즉, 70만 원을 꼭 다 채우지 않아도 정부기여금을 비례로 받을 수 있습니다.

2. 청년도약계좌의 금리는 시간이 지나면 더 오르나요?

청년도약계좌는 "5년 고정금리 상품"이 아닙니다.

농협은행의 경우, 말씀하신 **기본금리 4.5% + 우대이율 0.3%**로 총 4.8%인데요,

기본금리는 ‘변동금리’로 운영됩니다.

그럼 금리는 어떻게 바뀌나요?

  • 기본금리는 시중 금리(정기예금 금리 등)와 연동돼서

  • 통상적으로 3~6개월 주기로 조정될 수 있습니다.

  • 즉, 은행이 기준금리나 금융시장 상황을 반영해 변경합니다.

예를 들어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은행도 청년도약계좌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있고, 반대로 금리가 내려가면 청년도약계좌 금리도 내려갈 수 있어요.

3. 금리가 오르면 나한테 어떻게 반영되나요?

  • 대부분 은행은 기준금리 조정 시, 다음 달부터 새로운 금리로 적용합니다.

  • 다만 이미 쌓인 원금에 대한 이자는 이전 금리가 적용되고,

  • 이후 입금분부터는 새 금리 적용되는 구조입니다.

요약 정리

글 목록으로 돌아가기